[정답 풀이]
㉠은 메타 윤리학, ㉡은 실천 윤리학이다.
④ 실천 윤리학은 적용하는 이론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메타 윤리학을 활용할 수 있다.
[오답 풀이]
① 이론 규범 윤리학에 해당한다,
② 기술윤리학에 해당한다.
③ 메타 윤리학은 인간의 삶을 안내하거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관심이 없다.
⑤ 이론 규범 윤리학에 해당한다.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관계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은 관심 분야가 다르다 할지라도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음
현대의 (실천) 규범 윤리학은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메타 윤리학적 지식을 활용함
커리큘럼
1강 6번 메타 윤리학과 응용 규범 윤리학
0:09:14 맛보기
1강 7번 실천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특징
0:05:35 맛보기
1강 ebs 수능특강 18p 심화 6번
0:08:23 맛보기
1강 16번 응용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0:06:54
1강 EBS 수능 특강 9P 비인지주의 보충
0:04:02
1강 18번 이론 윤리학과 응용 윤리학의 특성 이해
0:13:31
1강 21번 메타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의 특징
0:09:05
1강 27번 표현의 자유의 의미 이해
0:05:39
2강 2번 칸트와 벤담의 윤리 사상 비교
0:09:05 맛보기
2강 5번 의무론과 공리주의 이해하기
0:07:20 맛보기
2강 9번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
0:23:58 맛보기
2강 10번 배려 윤리 이해하기
0:11:43
2강 20번 베버의 심정 및 책임 윤리와 요나스의 책임 윤리 비교
0:06:44
2강 24번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 이해
0:11:28
3강 5번 에피쿠로스와 플라톤의 죽음관을 비교한다
0:12:41 맛보기
3강 8번 에피쿠로스와 하이데거의 죽음관
0:05:11
3강 14번 죽음에 대한 유교와 도가의 입장 비교
0:05:27
3강 15번 플라톤과 하이데거의 죽음관을 파악한다
0:04:05
3강 16번 도가와 불교의 사상적 입장 비교
0:03:48
3강 24번 자발적 안락사의 정당성 여부 3단 논법
0:03:58
4강 14번 유전자 조작에 대한 윤리적 쟁점 이해
0:08:09 맛보기
4강 15번 유전자 조작에 대한 담론 윤리의 입장 이해
0:04:12
4강 16번 윤리 이론의 현실 문제 적용
0:06:47
4강 19번 유전적 치료와 관련된 문제
0:03:34
6강 4번 효의 의미 이해
0:23:57 맛보기
6강 23번 헤겔의 가족관 이해
0:04:23
6강 27번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에 대한 이해
0:05:09
7강 해설 76p 과학 기술자의 책임 한계에 대한 입장
0:22:20 맛보기
7강 2번 과학자의 올바른 자세 이해하기[14년(4월) 교육청 2번]
0:03:49
7강 5번 과학과 윤리의 관계 이해[15년(9월) 평가원 20번]
0:08:20
7강 6번 과학 기술의 가치 문제와 과학자의 책임에 대한 논쟁[14년(10월) 교육청 10
0:06:47
8강 27번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입장 비교[18년(9월) 평가원 9번]
0:13:26
8강 29번 환경 윤리에 대한 다양한 입장[17년(10월) 교육청 11번]
0:05:41
8강 30번 싱어 테일러 레오폴드의 환경 윤리 입장[18년 수능 11번]
0:09:51
8강 5번 동물(감정) 중심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이해[15년 9월 평가원 7번]
0:03:04 맛보기
9강 2번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율적 규제와 구조적 규제[15년(6월) 평가원 7번]
0:04:00
9강 21번 사이버 공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17년(3월) 교육청 15번]
0:04:42
10-1강 21번 니부어의 사회 윤리
0:04:11
10-1강 4번 니부어의 사회 윤리론 이해
0:26:26
10-2강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해설 133p
0:09:33
10-2강 2번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관
0:03:23
10-2강 노직의 소유에 있어서의 정의- 취득 이전 교정의 원칙 143p
0:03:24
10-2강 22번 노직의 분배 정의 이해
0:05:09
10-2강 152p 노직의 최소국가
0:02:37
10-2강 31번 분배적 정의에 대한 입장 비교
0:04:56
테일러와 '삶의 주체'에 대하여
0:23:18 맛보기